정부, 소외계층 위한 '디지털 포용' 정책 적극 추진
2021-06-22 이철호 기자
[smartPC사랑=이철호 기자] 정부가 취약계층을 비롯한 국민 모두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을 시행한다. 이를 위해 공공와이파이와 초고속 인터넷망을 확충하고, 디지털 교육 체계도 구축된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총리 주재로 개최된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포용은 단순히 취약계층의 정보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 국민 모두가 디지털 사회에 대한 참여 동기를 가지고, 디지털의 혜택을 직접 찾아서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환경 전반을 정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능력과 활용역량의 차이로 인해 경제·사회적 불평등이 심해지는 것을 막고, 국민 누구나 디지털을 활용하여 경제활동을 영위하고,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정부는 먼저 누구나 쉽게 찾아가 배울 수 있는 디지털 교육 체계를 구축해 전국민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주민센터와 도서관, 과학관 등을 '(가칭)디지털 역량 센터'로 선정해 디지털 역량이 부족한 모든 국민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디지털 기본역량 교육을 실시한다. 이와 함께 초·중·고생의 소프트웨어·AI 역량을 키우기 위한 교육도 강화하며, 디지털 역기능 예방을 위한 인터넷 윤리 교육, 미디어 리터리서 교육, 디지털 저작권 교육 등도 확대한다.
또한, 국내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 조성을 위해 2022년까지 주민센터, 마을회관 등 공공장소 41,000곳에 공공와이파이를 신규 설치하고, 도서·벽지 등 인터넷 이용이 어려운 농어촌 마을 1,300여개 지역에 초고속 인터넷망을 구축한다. 장애인·고령층을 위해 디지털 기기·서비스의 접근성을 개선하는 한편, 스마트패드나 스마트미러 등의 지능정보기술을 민원 서비스에 선체적으로 적용해 취약계층도 쉽게 행정민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디지털 기술의 포용적 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도 추진된다. 노인·장애인의 거주지나 집단거주시설에 호흡·맥박·활동감지 센서 등을 보급해 비대면 디지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취약 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취약계층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회적 기업을 지원한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포용사회 구현을 위해 민·관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