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시큐리티, “기업에서 사용하는 보안 툴, 너무 많으면 역효과”
상태바
IBM 시큐리티, “기업에서 사용하는 보안 툴, 너무 많으면 역효과”
  • 김희철 기자
  • 승인 2020.07.01 10: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martPC사랑=김희철 기자] IBM 시큐리티는 최근 포네몬 연구소(Ponemon Institute)를 통해 진행한 글로벌 기업 설문 조사 결과, 지난 5년간 기업의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비, 탐지 및 대응 능력은 향상되었으나, 공격 억제 능력은 오히려 13%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지나치게 많은 보안 툴의 사용과 주요 공격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 부재가 기업 보안 대응 활동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도 다수(74%)의 조직은 보안 대응 계획 자체가 없거나, 있어도 임시방편에 머무르거나 일관성 없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보안 대응 계획의 부재는 보안 사고시 큰 경제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실제로, 사고 대응팀을 두고 사고 대응 계획을 광범위하게 테스트하는 기업은 이를 하지 않는 기업에 비해 데이터 유출 시 평균 120만 달러 (한화 약 14억 4천만원) 더 적게 쓰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지난 5년간 더 많은 기업에서 전사적 차원의 보안 대응 계획을 마련했다. 2015년에는 응답 기업 중 보안 대응 계획을 가진 기업은 18%였지만, 올해는 26%로 44% 증가했다. 제대로 된 보안 대응 계획을 전사적으로 적용하는 기업은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심각한 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훨씬 더 적었다. - 기업에서 사용 중인 보안 툴의 수가 많을수록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기업들이 스스로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보안 툴이 50개가 넘는 그룹은 더 적은 수의 툴을 사용하는 그룹에 비해 탐지 능력이 8% 더 저조했고 공격 대응 능력도 7% 더 저조했다. - 공식 보안 대응 계획을 수립한 기업에서도 주요 공격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마련한 곳은 1/3에 불과했다(전체 응답자 중에서는 17%). 랜섬웨어와 같은 새로운 공격 방식에 대한 대비는 훨씬 더 저조했다.   IBM X-Force 위협 정보부(Threat Intelligence)의 웬디 휘트모어(Wendi Whitmore) 부사장은 "본격적으로 사고 대응 계획을 마련하는 기업이 늘었지만, 사이버 공격 대비는 한번에 완벽하게 마칠 수 있는 활동이 아니다"라며, "정기적으로 대응 계획을 테스트, 연습, 재평가하는 데에도 주력해야 한다. 또한 상호 운용 가능한 기술 및 자동화를 활용하면 복잡성 문제를 극복하고 더 신속하게 보안 사고를 억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용 중인 보안 툴이 많을수록 대응 역량은 감소

설문 조사 결과, 참여자들은 평균적으로 45가지 이상의 보안 툴을 사용하는 중이고, 실제로 보안 사고에 대처할 때마다 약 19가지 툴을 추가해야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 지나치게 많은 툴이 난립할 경우 공격 대응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기업들이 스스로 평가한 바에 따르면, 50개가 넘는 툴을 사용하는 그룹은 공격 탐지 능력이 8% 더 저조했고(5.83/10 대 6.66/10) 공격 대응 능력도 7% 더 저조했다(5.95/10 대 6.72/10). 이는 툴이 많다고 해서 보안 대응 활동의 실효성이 커진다고 장담할 수 없으며,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새로운 위협에 맞서 실행 계획 업데이트해야

공격 유형 마다 그에 맞는 대응 기술이 필요하므로, 미리 체계적인 실행 계획을 마련한 기업은 일관성 있고 반복 적용 가능한 실행 계획을 통해 자주 발생하는 공격에 대처할 수 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공식적인 사이버 보안 사고 대응 계획(cybersecurity incident response plan, CSIRP)을 보유한 기업 중에서도 구체적인 공격 유형에 대한 실행 계획을 세운 곳은 1/3인 33%에 불과했다. 구체적인 공격별 실행 계획을 운영하는 소수 그룹에서는 DDoS 공격(64%) 및 멀웨어(57%)에 대한 대응 계획이 가장 많았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공격 유형이 기업의 최대 골칫거리였지만, 랜섬웨어와 같은 새로운 공격 유형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 몇 년 새 랜섬웨어 공격이 70% 가까이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설문조사에서 실행 계획을 사용 중인 그룹 중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계획을 마련한 곳은 45%에 불과했다. 한편 보안 대응 계획은 있지만 해당 계획을 검토한 적이 없거나 검토/테스트 기간을 따로 정하지 않은 곳이 절반 이상(52%)이었다. 이는 원격 근무 증가로 인해 비즈니스 운영 환경이 빠르게 바뀌고 새로운 공격 수법이 끊임없이 등장하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최신 위협 및 비즈니스 환경을 반영하지 않은 낡은 대응 계획에 의존하는 기업이 여전히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숙련된 보안 인력, 복잡성을 해결하는 기술이 중요

공격에 잘 대응하는데 중요한 요인 중에서는 보안 인력의 전문성이 선두를 차지했다. 설문 응답자의 61%는 실력 있는 직원을 채용한 덕분에 보안 탄력성(resiliency)을 강화할 수 있었다고 답했다. 보안 탄력성이 향상되지 않았다는 응답자 중에서 41%는 숙련된 인력의 부재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기술 역시 사이버 보안 탄력성을 강화하는 차별화 요인이었는데, 특히 복잡성을 해결하는 툴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사이버 보안 탄력성을 갖춘 기업들은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에 대한 가시성(57%) 및 자동화 툴(55%)이 큰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이 기업들의 63%는 개방성과 상호 운용성을 갖춘 플랫폼 및 자동화 기술을 을 사용한 덕분에 더 효과적으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